식품의약품안전처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4월 10일 과자류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개발에 참여한 ㈜오리온 청주공장(충북 청주시 소재)을 방문하고, 업계 간담회*를 개최했다.
* ㈜오리온, 대형마트·편의점 등 유통업계, 스마트 해썹 준비업체 및 시스템 공급업체 등
’20년에 도입된 스마트 해썹은 식품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적용*되고 있으며, 이번 방문은 제조·유통업계와 함께 ㈜오리온 청주공장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 해썹 시스템 확산을 위한 지원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.
* 스마트 해썹 등록 현황(개소) : (’21) 111 → (’22) 226 → (’23) 345 → (’24) 452
식약처는 ❶올해 3월 적극행정위원회를 통해 모든 중요관리점(CCP)에 스마트 해썹을 적용한 경우 현장 조사‧평가를 면제하던 것을 60% 이상 적용한 업체까지 확대토록 우대 조치를 강화하였다.
* (예시) 3개 CCP 운영 : 2개 CCP 스마트 해썹 적용 + 1개 CCP 수기 모니터링 관리
또한, 스마트 해썹을 준비하는 후발업체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❷스마트 해썹 등록 패키지 지원 사업(맞춤형 컨설팅) ❸식품 유형별 선도모델* 개발 및 범용프로그램 제공 ➍스마트 센서 개발·보급 등을 추진하고 있다.
* 선도모델 : 원료 입고부터 판매까지 전(全) 공정 디지털화로 실시간 데이터 연동·제어 가능한 스마트 해썹과 생산관리 결합 시스템 개발하고, 후발 업체 보급용 범용프로그램 개발
< 식약처의 스마트 해썹 지원 주요 내용 > |
❶ 정기 현장 조사‧평가 면제(적극 행정) 및 심벌 사용 대상 확대 - 중요관리점(CCP)의 60% 이상 스마트 해썹 적용 업체는 정기 현장 조사‧평가 면제 및 스마트 해썹 심벌 사용 가능 ❷ 스마트 해썹 등록 패키지 지원 사업 - 식약처, 중소벤처기업부, 지자체(경북, 전북, 강원, 제주) 등과 협력하여 스마트 해썹 구축 비용(약 26억원, 61개소) 지원 - 업체 규모 및 준비 수준별 맞춤형 현장 기술지원, 시스템 공급기업 매칭 등 ❸ 선도모델 개발 확대 및 범용프로그램 보급 - ’25년 냉동식품의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개발 - 기존 선도모델 기반의 범용 프로그램을 후발 업체에 무상 제공 및 기술지원 * (’22년) 빵류, (’23년) 김치류, (’24년) 과자류 ❹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스마트 센서 개발·보급 - 중요관리점(CCP) 모니터링 데이터를 자동 수집·전송하는 스마트 센서 15종 자체 개발·보급 - 일정 기간 스마트 센서 체험을 원하는 업체에 무료 임대 |
출처:식품의약품안전처
식품의약품안전처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4월 10일 과자류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개발에 참여한 ㈜오리온 청주공장(충북 청주시 소재)을 방문하고, 업계 간담회*를 개최했다.
* ㈜오리온, 대형마트·편의점 등 유통업계, 스마트 해썹 준비업체 및 시스템 공급업체 등
’20년에 도입된 스마트 해썹은 식품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적용*되고 있으며, 이번 방문은 제조·유통업계와 함께 ㈜오리온 청주공장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 해썹 시스템 확산을 위한 지원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.
* 스마트 해썹 등록 현황(개소) : (’21) 111 → (’22) 226 → (’23) 345 → (’24) 452
식약처는 ❶올해 3월 적극행정위원회를 통해 모든 중요관리점(CCP)에 스마트 해썹을 적용한 경우 현장 조사‧평가를 면제하던 것을 60% 이상 적용한 업체까지 확대토록 우대 조치를 강화하였다.
* (예시) 3개 CCP 운영 : 2개 CCP 스마트 해썹 적용 + 1개 CCP 수기 모니터링 관리
또한, 스마트 해썹을 준비하는 후발업체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❷스마트 해썹 등록 패키지 지원 사업(맞춤형 컨설팅) ❸식품 유형별 선도모델* 개발 및 범용프로그램 제공 ➍스마트 센서 개발·보급 등을 추진하고 있다.
* 선도모델 : 원료 입고부터 판매까지 전(全) 공정 디지털화로 실시간 데이터 연동·제어 가능한 스마트 해썹과 생산관리 결합 시스템 개발하고, 후발 업체 보급용 범용프로그램 개발
❶ 정기 현장 조사‧평가 면제(적극 행정) 및 심벌 사용 대상 확대
- 중요관리점(CCP)의 60% 이상 스마트 해썹 적용 업체는 정기 현장 조사‧평가 면제 및 스마트 해썹 심벌 사용 가능
❷ 스마트 해썹 등록 패키지 지원 사업
- 식약처, 중소벤처기업부, 지자체(경북, 전북, 강원, 제주) 등과 협력하여 스마트 해썹 구축 비용(약 26억원, 61개소) 지원
- 업체 규모 및 준비 수준별 맞춤형 현장 기술지원, 시스템 공급기업 매칭 등
❸ 선도모델 개발 확대 및 범용프로그램 보급
- ’25년 냉동식품의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개발
- 기존 선도모델 기반의 범용 프로그램을 후발 업체에 무상 제공 및 기술지원
* (’22년) 빵류, (’23년) 김치류, (’24년) 과자류
❹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스마트 센서 개발·보급
- 중요관리점(CCP) 모니터링 데이터를 자동 수집·전송하는 스마트 센서 15종 자체 개발·보급
- 일정 기간 스마트 센서 체험을 원하는 업체에 무료 임대
출처:식품의약품안전처